에른스트 블로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른스트 블로흐는 1885년 독일에서 태어난 유대인 철학자이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게오르크 짐멜, 루카치 죄르지와 교류했고, 1918년 첫 저서 『유토피아 정신』을 발표했다. 나치가 권력을 잡자 망명 생활을 시작, 미국에서 『이 시대의 유산』을 간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동독으로 돌아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나, 1961년 서독으로 이주하여 튀빙겐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가 되었다. 그의 사상은 유토피아와 희망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하며, 197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트비히스하펜 출신 - 헬무트 콜
헬무트 콜은 1982년부터 1998년까지 서독과 통일 독일의 연방총리를 역임하며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을 이끌고 유럽 연합 통합에 기여했으나, 정치자금 스캔들, 건강 악화, 가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독일의 정치인이다. - 루트비히스하펜 출신 - 나딤 아미리
나딤 아미리는 독일 국적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TSG 1899 호펜하임 유스팀에서 데뷔하여 바이엘 레버쿠젠, 제노아 CFC, 1. FSV 마인츠 05를 거쳤고, 독일 U-21 대표팀과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 - 독일의 인문주의자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 독일의 인문주의자 -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
오스트리아 태생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인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는 코페르니쿠스의 유일한 제자로서 지동설을 알리고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출판을 추진했으며, 삼각법 연구와 지도 제작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에 불운을 겪었다. - 독일의 정치철학자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발트 독일인 출신 나치 이론가이자 정치가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베르사유 조약 폐기 등을 주창하며 나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당 외교정책국장, 동부 점령 지역 장관 등을 역임하며 전쟁 범죄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 독일의 정치철학자 - 한나 아렌트
한나 아렌트는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정치 철학자로, 전체주의, 악의 평범성, 활동적인 삶 등을 탐구하며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등의 저서를 남겼다.
에른스트 블로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른스트 블로흐 |
출생일 | 1885년 7월 8일 |
출생지 | 바이에른 왕국 루트비히스하펜 |
사망일 | 1977년 8월 4일 |
사망지 | 서독 튀빙겐 |
교육 | |
학력 | 뮌헨 대학교,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PhD, 1908) |
박사 논문 제목 | 리케르트와 현대 인식론 문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
경력 | |
기관 | 라이프치히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
철학적 정보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20세기 철학 |
학파/전통 | 서구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해석학 |
주요 관심사 | 인본주의, 역사철학, 자연, 주관성, 이데올로기, 유토피아, 종교, 신학 |
주요 사상 | 희망의 원리, 비동시성 |
2. 생애
에른스트 블로흐는 루카치 죄르지, 브레히트, 벤야민, 크라카우어, 아도르노 등 동시대 지성인들과 교류하며 루카치와의 표현주의 논쟁으로 이름을 알렸다.[7] 그는 생애 마지막까지 왕성한 체력과 정신력으로 철학, 정치경제학, 신학, 문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법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에 몰두했다.
1913년 발트해 양조업자의 딸인 엘제 폰 슈트리츠키와 결혼했으나, 1921년 사망했다. 린다 오펜하이머와의 두 번째 결혼은 몇 년 만에 끝났다. 1934년 빈에서 폴란드 건축가인 카롤라 피오트로프스카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1967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서 독일 서적 협회 평화상, 1975년 지그문트 프로이트 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5년 7월 8일 루트비히스하펜에서 유대인 철도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났다.[7] 뮌헨과 뷔르츠부르크에서 철학, 물리학, 음악을 공부하고, 대학 입학 후 여섯 학기밖에 지나지 않은 1908년 「리케르트와 근대 인식론의 문제에 대한 비판적 해명」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탁월한 천재성을 드러냈다.2. 2. 망명과 저술 활동
1933년 나치가 권력을 장악하자, 유대인이었던 블로흐는 즉시 국외로 탈출했다. 처음에는 스위스로, 그 후 오스트리아,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등을 전전한 뒤, 1938년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약 10년 동안 망명 생활을 하였다.[7]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49년 동독으로 귀국하여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의 지위를 얻었다.이 도피 행각 중에 두 번째 주저 『이 시대의 유산』을 간행하였다. 일상적인 현실 속에 숨겨진 "더 이상 의식되지 않는 것"과 "아직 의식되지 않는 것"이라는 두 개의 개념을 축으로 하여, 몽타주에 의해 자신의 사고를 구성해 가는 수법은, 『유토피아 정신』에서 계승된 것이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왜 나치를 낳고, 히틀러를 정권에 취임시켜야만 했는가"를 규명한 이 작품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닌 작가·평론가 (헤르만 헤세, 클라우스 만 등)에게서도 높게 평가받았다. 또한 동시기(1937년-1938년)에는, 표현주의를 나치즘에 선행한 것으로 비난하는 루카치에 대해, 전위 예술이 미래를 전망하고 실현할 가능성을 믿는 입장에서 반론을 가하고, 소위 "표현주의 논쟁"을 펼쳤다.
미국에서 보낸 대전 중에는 사색의 성과를 정리할 기회를 얻지 못했던 블로흐는 동독으로 귀국후 잇달아 저서를 간행하고, 1954년부터 1959년에 걸쳐 세 번째 주저 『희망의 원리』를 발표했다. 그러나 블로흐의 사상은 매우 독특하고 이단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에, 수정주의라는 비판을 받는 등 정부 당국과의 사이에 갈등이 생기게 되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의 건설을 계기로 서독으로 이주하였다.[7]
2. 3. 동독과 서독에서의 활동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다. 2차대전이 끝난 후 동독의 라이프치히에서 교수가 되었지만, 관료주의에 반항하다가 교수직을 박탈당하고 서독으로 망명하였다.[7]1948년, 블로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철학 교수직 제안을 받고 동독으로 돌아갔다. 1955년 동독 국가상을 수상했고,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AdW)의 회원이 되었다. 그는 동독의 정치 철학자가 되었다. 이 시기의 그의 많은 제자 중에는 1957년 그와 함께 박사 학위를 받은 그의 조수 만프레트 부어가 있었는데, 그는 나중에 그라이프스발트의 교수가 되었고,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ADC)의 철학 중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블로흐를 비판하게 되었다.
그러나 1956년 헝가리 혁명으로 인해 블로흐는 사회주의 통일당 정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수정하게 되었지만, 그의 마르크스주의적 지향은 유지했다. 그는 인본주의적 자유 사상을 옹호했기 때문에, 72세의 나이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로 1957년에 은퇴해야 했다. 많은 과학자들과 학생들이 이 강제 은퇴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했으며, 그중에는 저명한 교수이자 동료인 에밀 푸흐스와 그의 제자들, 그리고 푸흐스의 손자인 클라우스 푸흐스-키토프스키가 있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었을 때, 그는 동독으로 돌아가지 않고 서독의 튀빙겐으로 가서 철학 명예 교수를 받았다. 그는 1960년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밀란 마호베츠 등이 조직한 기독교-마르크스주의 지식인 대화 그룹과 교류했다.[7] 그는 튀빙겐에서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9년에는 동독으로 귀국하여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의 지위를 얻었다. 1954년부터 1959년에 걸쳐 세 번째 주저 『희망의 원리』를 발표했다. 그러나 블로흐의 사상은 매우 독특하고 이단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에, 수정주의라는 비판을 받는 등 정부 당국과의 사이에 갈등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1961년, 베를린 장벽의 건설을 계기로 서독으로 이주하여 튀빙겐 대학교에서 철학 명예 교수의 직위를 얻었다.
2. 4. 만년과 죽음
1961년 베를린 장벽이 건설되자, 블로흐는 동독으로 돌아가지 않고 서독의 튀빙겐으로 가서 철학 명예 교수가 되었다. 그는 1960년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밀란 마호베츠 등이 조직한 기독교-마르크스주의 지식인 대화 그룹과 교류했다.[7] 1977년 튀빙겐에서 사망했다.3. 사상
블로흐는 매우 독창적이고 괴짜 같은 사상가였다. 그의 저작, 특히 그의 대작인 《희망의 원리》는 시적이고 격언적인 스타일로 쓰였다.[6] 그는 우주가 그의 근원(''Urgrund'')에서 최종 목표(''Endziel'')로의 전환을 겪고 있다고 믿었으며, 이 전환이 주체-객체 변증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8]
3. 1. 유토피아와 희망
블로흐는 매우 독창적이고 괴짜 같은 사상가였다. 그의 저작, 특히 그의 대작인 《희망의 원리》는 시적이고 격언적인 스타일로 쓰였다.[6] 《희망의 원리》는 사회적, 기술적으로 개선된 미래를 향한 인류와 자연의 지향성에 대한 백과사전적 설명을 제공하려 한다. 이러한 지향성은 블로흐의 포괄적인 철학의 일부이다. 블로흐는 우주가 그의 근원(''Urgrund'')에서 최종 목표(''Endziel'')로의 전환을 겪고 있다고 믿었다.[8] 그는 이 전환이 주체-객체 변증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믿었으며, 인간 역사와 문화의 모든 측면에서 이러한 과정의 증거를 보았다.3. 2. 표현주의 논쟁
에른스트 블로흐는 게오르크 루카치, 베르톨트 브레히트, 발터 벤야민,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 테오도어 아도르노 등 동시대의 지성인들과 친교를 맺으며 루카치와의 표현주의 논쟁으로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알렸다.[6]4. 영향
5. 저작
에른스트 블로흐는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왕성한 체력과 정신력으로 저술 활동에 몰두하여 철학, 정치 경제학, 신학, 문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법철학, 예술 등 가히 백과사전적이라 할 정도로 폭넓은 분야를 섭렵하며 수많은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원제 | 번역서 및 기타 정보 |
---|---|---|
1918 | Geist der Utopie (유토피아의 정신) | 호무라 후지히코 역, 백수사 1997 |
1921 | Thomas Münzer als Theologe der Revolution (토마스 뮌처 혁명의 신학자) | 히구치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후미코 역, 고쿠분샤 아우로라총서 1982 |
1923 | 사막을 넘어 | |
1930 | Spuren (미지への 흔적) | 스가야 키쿠오 역, 이자라 서방 1969 |
1935 | Erbschaft dieser Zeit (이 시대의 유산) | 이케다 히로시 역, 삼일서방 1982, 문고화: 지쿠마 학예문고 스이세이샤 2008 |
1946 | Freiheit und Ordnung (자유와 질서) | |
1949 | Subjekt-Objekt, Erläuterungen zu Hegel (주체:객체 헤겔 읽기) | |
1952 | Avicenna und die aristotelische Linke (아비센나와 아리스토텔레스 좌파) | |
1953 | Christian Thomasius (크리스티안 토마지우스) | |
1959 | Das Prinzip Hoffnung (희망의 원리) | 아라이 코지, 야마시타 하지메 외 역, 합동출판 1973, 재판 백수사 1982 |
1961 | Naturrecht und menschliche Würde (자연법과 인간의 존엄성) | |
1961 | Philosophische Grundfragen I (철학의 근본 문제 I) | 다케우치 토요지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총서·유니베르시타스) 1972 |
1962 | Verfremdungen (이화) | 가타오카 케이지, 타네무라 토시히로, 후나토 미츠유키 역, 현대사조사 1971 |
1963 | Tübinger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튀빙겐 철학 입문) | 스가야 키쿠오, 이마이 미치오, 미쿠니 치아키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총서·유니베르시타스) 1994 |
1968 | Atheismus im Christentum (기독교 안의 무신론) | 다케우치 토요지, 타카오 토시카즈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총서·유니베르시타스) 1975-1979 |
1970 | Politische Messungen, Pestzeit, Vormärz (나치즘 지옥과 신들의 황혼) | 이케다 히로시, 후지와라 타츠시, 혼조 후미아키 역, 수성사 2008 |
1970 | Marx und die Revolution (마르크스와 혁명) | 하나자키 코헤이 역, 기노쿠니야 서점 1972 |
1972 | Das Materialismusproblem, seine Geschichte und Substanz (유물론의 문제:그 역사와 전체) | |
1975 | Experimentum Mundi (세계라는 실험 질문, 꺼내기의 여러 카테고리, 실천) | 오다 토시토 역, 호세이 대학 출판국(총서·유니베르시타스) 1999 |
참조
[1]
논문
Kritische Erörterungen über Rickert und das Problem der modernen Erkenntnistheorie
[2]
서적
New Perspectives in German Literary Criticism: A Collection of Essay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Erasmus: Speculum Scientarium
[4]
서적
Not Yet: Reconsidering Ernst Bloch
Verson
[5]
웹사이트
Professoren der Uni Leipzig 1945 -1993
https://research.uni[...]
[6]
서적
Main Currents of Marxism Volume 3: The Breakdow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Milan Machovec a jeho filosofická antropologie v 60. letech XX. století
Charles University, Faculty of Education, Department of Civic Education and Philosophy
[8]
학술지
Utopia and Reality in the Philosophy of Ernst Bloch
http://www.jstor.org[...]
1990
[9]
서적
History and Spirit: An Inquiry into the Philosophy of Liberation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0]
서적
Nature and Spirit: An Essay in Ecstatic Naturalism
https://archive.org/[...]
Fordham University Press
[11]
서적
Cruising Utopia : The Then and There of Queer Futurity
New York University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